본문 바로가기
: 기획칼럼/양재준의 '알투바이오'

[알투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시도하는 알테오젠 VS 할로자임

by 한국경제TV 2020. 7. 2.

알테오젠이 글로벌 10대 제약사와 피하주사제형(SC) 기술인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양사의 계약 관련 비밀조항에 따라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트렌드 변화를 보면 얼추 유추도 가능하다는 게 바이오업계입니다.

일단 할로자임과 손잡은 존슨앤존슨(얀센), 로슈 그리고 자체 기술을 가지고 있는 애브비를 빼면 그림이 나옵니다.

할로자임 테라퓨틱스와 파트너십을 구축한 제약기업들로는 로슈, 박스앨타, 화이자, 얀센 및 애브비, BMS 등이 있습니다.

영국계인 GSK와 아스트라제네카, 독일계 바이엘은 항체치료 분야와는 약간 거리가 멉니다.

▶ 로슈에 이어 MSD, BMS SC제형 관심

프랑스계 사노피, 미국 머크(MSDS)와 BMS(브리스톨마이어스큅)이 SC제형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면역항암제 옵디보를 출시한 BMS는 지난 2017년 할로자임에서 물질을 도입해 옵디보SC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 바이오의약품(오리지널)을 하는 곳 가운데 화이자, 로슈, 애브비 등은 바이오시밀러 개발업체들의 진입장벽을 막기 위해 제형 변경에 관심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어제 SC제형을 얘기하면서 셀트리온의 램시마SC는 거의 지우개가 됐습니다.(자체 기술인데 말이죠.)

 

▶ 할로자임 시가총액 4조원 VS 알테오젠 3.9조원

할로자임 테라퓨틱스(Halozyme, 나스닥 HALO)의 시가총액은 24일 종가를 기준으로 33억 5870만 달러, 원/달러 환율 1,200원을 고려하면 약 4조 300억원 수준입니다.

반면 알테오젠은 어제 장중 한때 시가총액이 5조원을 기록한 후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장 마감 시가총액은 3조 9천억원대를 기록했습니다.

할로자임과 거의 동급 수준의 시가총액인데 1년 예상 PER(Forward P/E 1 Yr)에서 할로자임은 34.16배인데, 알테오젠은 좀 많이 높습니다.

기술력이 비슷하니까 시가총액이 같아야 한다는 논리를 대입하기는 무리수인 듯 합니다.(언제 우리나라 바이오기업이 PER 따졌습니까)

실제 바이오기업 IPO(기업공개) 간담회에 가면 항상 글로벌기업(나스닥시장 상장기업)의 그래프를 보여주면서 자기들의 기술력이 이와 같다며 글로벌 기업의 시가총액을 강조하며 열변을 토하는 바이오기업 CEO들이 많습니다. (가지 몇 봉지 던져주고 싶을 때 많습니다.)

다만, 글로벌시장에서의 트렌드를 따져 봐야 할로자임과 알테오젠은 경쟁하는 것은 맞는데, 약간 다르다는 판단이 먼저입니다.

▶ 할로자임, 시판 허가 `다잘렉스` 마일스톤 120억원 수령

지난 10일 할로자임은 얀센 바이오테크놀로지(Janssen)로부터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다잘렉스(성분 다라투무맙)의 시펀 허가에 따라 1,000만 달러의 기술수출 성과료(마일스톤)을 수령했습니다.

시판 허가가 났는데 우리 돈 약 120억원 정도를 수령한 셈이죠.

<<할로자임 홈페이지에 나온 뉴스 발췌 : SAN DIEGO, June 22, 2020 /PRNewswire

Halozyme Therapeutics, Inc. (NASDAQ: HALO) today announced the company will receive a $10 million milestone payment from Janssen Biotech, Inc. (Janssen) triggered under the Collaboration and License Agreement between the two companies.

The milestone payment is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ercial sale in the European Union of Janssen`s subcutaneous formulation of DARZALEX® (daratumumab) utilizing ENHANZE®, which was recently granted marketing authorization by the European Commission.>>

이 내용을 유추해 보건데 알테오젠이 받은 기술수출료나 할로자임이 받은 기술수출료나 비슷한 듯 합니다.

다만, 차이는 다잘렉스의 시판 허가에 따른 판매에 대한 수수료(경상수출료 별도)가 들어온다는 것입니다.

알테오젠이 받은 기술수출 계약금은 194억원(약 1,600만달러)인데, 후보물질의 임상 개발, 허가 및 판매 등 개발 단계에 따라 4조 6,770억원의 기술료를 받게 된다.

한 번에 들어오는 돈 아니기에 너무 앞선 생각은 금물입니다.(계약기간이 2040년까지입니다.)

▶ 기술수출 단계별 유입, 평균 5년 전후 소요

기술수출은 통상 초기계약금(계약 단계 성사금)과 임상시험 성공에 따른 임상(개발) 마일스톤(Crinical trial milestone), 시판 허가후 판매에 따른 판매 마일스톤(sell milestone), 경상기술료(Royalty)로 구성됩니다.

초기 계약금은 보통 총 계약금액에 5~7%를 수령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물론 2~3%도 있죠.)

예를 들어 1조원 규모의 기술수출(라이선스-아웃)이라고 할 경우 계약금은 500억~700억원 가량을 수령하게 됩니다.

한 번에 기술수출 금액이 100% 들어왔다가 계약이 해지되면 다시 빠져 나가는 게 아닙니다.(이에 대해 오해하시는 투자자분들이 많습니다.)

이후 임상시험 성공에 따른 임상(개발) 마일스톤(Crinical trial milestone)의 경우 단계별로 수령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임상1상 완료, 임상2상 완료, 임상3상 완료에 따른 배분율이 다른데요.

통상 임상1상의 경우 총 금액 대비 약 10%, 임상2상의 경우 15~20%, 임상3상의 경우 20~25%, 시판후 나머지 금액(약 40~50%, 경상수출료)에 대한 수령이 가능해 집니다.

그래서 향후 기술수출과 관련해 향후 알테오젠이 임상1상에서 얼마를 수령하느냐가 핵심 관건이 될 수 있습니다.

▶ SC제형, 바이오시밀러 `창과 방패`

글로벌시장에서 SC제형은 또다른 무기가 되고 있습니다.

즉, 바이오시밀러의 특허가 만료되자 대형 바이오텍들이 잇따라 진출을 하면서 이에 대한 특허 전쟁은 물론 또 하나의 방패로 SC제형을 준비하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할로자임(Halozyme)은 2006년부터 현재까지 10곳의 글로벌 제약사와 약 60여개 물질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총 계약 규모는 약 7조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애브비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휴미라를 출시한 후 곧바로 휴미라SC제형을 출시했습니다.

로슈 역시 리툭산(맙테라)에 대한 SC제형을 개발해 출시했습니다.

또,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을 SC 제형으로 바꾼 허셉틴SC로 유럽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즉, 2가지 옵션을 가지고 특허가 만료돼도 바이오시밀러의 진입 장벽을 하나 더 친 셈입니다.

물론 여기에 바이오시밀러 개발업체들은 SC제형을 기반으로 시장에 진입하려는 무기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곳이 셀트리온입니다.(램시마SC)

바이오시밀러의 최대 장점은 가격 경쟁력입니다.

하지만, SC제형은 소위 바이오베터급으로 분류가 되기에 가격을 조금 더 받는 게 사실입니다.

오리지널 의약품이 100이라면 바이오베터가 오리지널 대비 약 85% 전후, 바이오시밀러가 65~70% 전후의 가격대가 형성돼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포함)에서 화두는 `고농축/고농도`입니다.

즉, 정맥주사형(IV)에서 피하형(SC)제형 변경을 통해 환자의 복약(투약) 순응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물론 이 작업은 알테오젠의 기술을 사가지고 간 글로벌 제약사가 IV제형과 SC제형간의 효능과 안전성이 유사함을 입증해야 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해야 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환자가 병원에 가지 않는 `언택트` 영향으로 셀트리온의 램시마SC 처방이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 나오는 얘기들을 종합하면 알테오젠은 추가적인 기술수출을 하겠다는 얘기들이 많이 나옵니다.

물론 알테오젠이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수출과 제휴를 많이 해야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만, 일단 계약 도장찍는 것 확인하고 판단해도 늦지 않아 보입니다.

(기술수출에 대해서는 중소 바이오텍은 기술수출 추진하고 성사 가능성 높다고 떠벌이고, 큰 형(유한양행/한미약품 등)은 기술수출 파기되고 하는 일이 많아서요.)

글로벌 제약사들의 전략에 따라 주사제 제형 패러다임 변화에 알테오젠이 주목받는 것은 당연하지만, 할로자임 역시 새로운 플랫폼을 준비하는 등 만만치 않다는 것도 있습니다.

요즘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제약바이오 관련주의 큰 트렌드는 코로나19(치료제/백신/진단키트)와 플랫폼 결합 기술수출 가능성 업체들이라는 판단이 많이 듭니다.

《알투바이오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추구하는 기자의 `알고 투자하자 바이오`의 줄임말입니다. 》

한국경제TV 성장기업부 양재준 부장

jjyang@wowtv.co.kr

댓글